pagead/js/adsbygoogle.js?client=ca-pub-9044676698524796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알아보기
본문 바로가기
우리 일상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알아보기

by 세봉~ 2023. 5. 6.
반응형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청년소장펀드)는 세금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작년 상반기에 출시됐는데요.

정부는 올해 1분기 중으로 은행, 증권사에서 청년소장펀드를 출시하도록 더 지원하겠다 밝혔습니다.

펀드 납입금액의 40%를 종합소득 금액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연 600만 원까지 펀드에 납입할 수 있는데요.

  • 공제는 1년에 24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 매달 50만 원을 3년 동안 납입하면 1,800만 원과 펀드 수익에 더해,  최대 720만 원의 소득공제까지 받을 수 있는 건데요.

 의무 유지 기간은 3년으로, 3년이 되기 전에 해지한다면 감면된 세금을 내야 하죠.

 

  1. 신청 조건
    • 나이: 만 19세~34세
    • 소득: 연간 총 급여액 5천만 원 이하거나, 종합소득금액이 3,800만 원 이하
    • 기타: 가입 직전 3년 동안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다면 가입 불가
  2. 가입기간 : 23년 12월 31일까지

   3. 계약 기간은 3~5년입니다.

 

  4. 가입 가능한곳

미래에셋, NH아문디,트러스톤 자산운용,다음,KB,IBK,신한이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가입하려면 아까 위에서 말씀드린 연소득, 종합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하므로 홈택스에서 소득금액증명서를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그런 다음 해당상품을 판매하는 금융기관에 직접 찾아가서 가입을 하셔도 되고 아니면 모바일 어플을 통해 상품을 상담

받고 계좌를 개설해서 가입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취급하는 은행에 내 계좌가 이미 있다면 굳이 계좌를 새로 만들 필요는 없어요.

코로나 덕분인지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품들이 많으니까요.

가입 후 받게 되는 세제혜택은 해당 장기펀드에 납입한 금액의 40%를 면제받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가 얻게 되는 이득은?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우리가 납입할 수 있는 한도는 연 600만원입니다. 그리고 가입은 최소 3년이에요. 이렇게 해서 계산해보면

연 600 * 3년 하면 1800만원이 원금이 됩니다. (월50만원씩 12개월이면 600만원)

여기에 펀드운용수익금과 펀드 납입액 기준 40%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운용수익금은 정해진 금액이 아닙니다. 랜덤이죠. 많이 나오면 좋은 겁니다.

 

이 상품의 단점

 

연 최대 600만원을 넣는 장기펀드입니다. 

그리고 3년 안에 목돈이 필요해서 어쩔 수 없이 해지하게 될 경우 그동안 받았던 소득공제혜택을 추징당하게 됩니다.

물론 기간을 지키면서 가입기간을 채웠다면 세제혜택을 받으면 240만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세율구간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15%구간을 기준으로 한다면 30만원 중반대의 절세효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